반응형
문자열 (String)
// 문자열 O
"hello" // 큰 따옴표 ~ 큰 따옴표 (처음 시작한 것과 마지막이 동일하여야 합니다.)
'world' // 작은 따옴표 ~ 작은 따옴표
`hi` // 백틱 ~ 백틱
// 문자열 X
"apple' // 큰 따옴표 ~ 작은 따옴표
'banana" // 작은 따옴표 ~ 큰 따옴표
'peach` // 작은 따옴표 ~ 백틱
큰 따옴표에서 큰 따옴표
작은 따옴표에서 작은 따옴표
백틱에서 백틱
사이에 있는 문자는 문자열로 간주됩니다.
큰 따옴표에서 작은 따옴표처럼 나타내면
문자열로 간주되지 않습니다.
처음 시작한 것과 마지막이 동일하여야 합니다.
인덱스 (Index)
문자열의 각 문자는 순서를 가지고 있습니다.
각 문자가 몇 번째에 위치하는지 index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let str = "hello world";
console.log(str[0]); // "h" (첫 번째 문자의 인덱스가 0 이라는 점을 주의해 주세요.)
console.log(str[5]); // " " (공백도 문자로 인정하여 인덱스가 있습니다.)
console.log(str[10]); // "d"
첫 번째 문자의 index가 0 이라는 점을 주의해 주세요.
그리고, 공백도 문자로 인정하여 index가 있습니다.
반응형
Summary (요약)
// 문자열 O
"hello" // 큰 따옴표 ~ 큰 따옴표 (처음 시작한 것과 마지막이 동일하여야 합니다.)
'world' // 작은 따옴표 ~ 작은 따옴표
`hi` // 백틱 ~ 백틱
// 문자열 X
"apple' // 큰 따옴표 ~ 작은 따옴표
'banana" // 작은 따옴표 ~ 큰 따옴표
'peach` // 작은 따옴표 ~ 백틱
let str = "hello world";
console.log(str[0]); // "h" (첫 번째 문자의 인덱스가 0 이라는 점을 주의해 주세요.)
console.log(str[5]); // " " (공백도 문자로 인정하여 인덱스가 있습니다.)
console.log(str[10]); // "d"
Data_type(String)을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.
틀린 내용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반응형